노새 두 마리는 1인칭 관찰자 시점으로 그려진 작가 최일남의 단편소설이다. 1970년대 서울의 어느 가난한 동네가 소설의 배경이다. 당시는 급격한 산업화와 도시화가 진행되던 시절이다. 하지만 주인공의 아버지는 이러한 변화를 적응하지 못하고 노새를 끌며 연탄 배달을 다녔다. 작품에서 아들은 힘들게 살아가는 자신의 아버지의 삶을 노새로 비유하고 있다. 노새 두 마리 작가 최일남 소개 노새 두 마리의 작가 최일남은 1932년 12월 전라북도 전주에서 출생했다. 그는 서울대학교 국문과에 1952년 입학했다. 그는 1953년 문예에 쑥 이야기가 추천되고 1956년 현대문학에서 소설 파양이 추천되어 문단에 등단하게 된다. 그는 창작활동과 언론활동을 병행하면서 최일남 만의 색을 가진 작품들이 등장했다. 그는 1960..
표구된 휴지는 작가 이범선이 1972년에 발표한 단편 소설이다. 이 작품은 1960대에서 1970년대 서울을 배경으로 한다. 이 당시 서울은 전쟁 이후 도시화와 산업화가 급격하게 이루어진 시기로 젊은 사람들이 도시로 몰려들었다. 표구된 휴지는 시골에 계신 아버지가 서울로 일을 하러 간 아들에게 쓴 편지 내용이다. 구겨진 휴지였던 한 아버지의 편지를 읽고 주인공의 생각이 어떻게 변하는지 살펴보며 작품을 읽어보면 좋다. 표구된 휴지 작가 이범선 표구된 휴지를 발표한 작가 이범선은 1920년 12월 평안남도 신안주에서 태어났다. 광복을 한 이후에는 남쪽으로 내려왔다. 이범선은 동국대 국문과를 1952년 졸업했고 김동리 작가의 추천으로 1955년 암표와 일요일이라는 작품이 현대문학에 실렸다. 그는 그렇게 문단에..
어린 왕자를 쓴 작가 생텍쥐페리는 글을 쓰기도 했지만 비행사이기도 했다. 어린 왕자는 생텍쥐페리가 1943년 4월에 출간한 작품이다. 비행하는 것을 좋아했던 그는 1935년 비행 도중에 사하라 사막에 불시착했지만 기적적으로 구출된 적이 있다. 이 경험에서 그는 어린 왕자를 쓰는데 큰 영감을 얻었다고 한다. 작품 속에는 사막에서 만난 여우가 어린 왕자에게 관계에 대해 알려주는 부분이 있다. 우리는 그 부분을 중점에 두고 책을 읽어보면 좋을 거 같다. 어린 왕자 작가 소개 어린 왕자를 쓴 작가 생텍쥐페리는 1900년 프랑스에서 태어났다. 어린 시절 그는 영리하고 생기가 넘치는 소년이었다. 청년이 된 후에는 미술학교에 다니면서 건축 공부도 했다. 군대에 입대하고 비행기를 수리하다가 조종사 자격증을 따게 된다...
소설 메밀꽃 필 무렵은 작가 이효석의 작품이다. 1936년 10월 잡지 조광에 모밀꽃 필 무렵이라는 이름으로 수록되었다. 하지만 표준어가 정립된 후 메밀꽃 필 무렵으로 변경되었다. 1920년대 어느 여름 낮부터 밤까지를 그리고 있으며 강원도 봉평에서 대화 장터로 가는 길을 배경으로 한다. 장돌뱅이로 살아가는 허생원의 떠돌이 삶이 그의 추억 속에서 시간과 공간의 이동과 함께 묘사된다. 이 소설의 주된 배경인 메밀꽃 핀 달밤은 과거와 현재를 이어주는 장치로 아름답게 묘사된다. 메밀꽃 필 무렵 작가 소개 작가 이효석은 메밀꽃 필 무렵의 배경인 강원도 평창에서 태어났다. 과거 경성제국대학인 서울대학교 영문과를 졸업했다. 1928년 조선지광에 단편작품인 도시와 유령이 발표되면서 동반 작가로 데뷔했다. 이후 구인회..
상록수는 심훈의 장편소설이다. 우리나라 농촌계몽소설의 대표작품으로 뽑는 소설 중 하나이다. 소설 상록수는 1930년대 일제 강점기를 그리고 있으며 농촌이 배경이다. 이 당시는 일제의 민족 말살 정책으로 한글 교육이 억압되고 대한 수탈이 강화된 시기였다. 농촌의 삶은 더욱 힘들었던 상황이었다. 많은 지식인들은 우리 민족의 정신을 살리고 일제로부터 독립하기 위해 농촌 계몽 운동에 힘을 썼다. 상록수는 남녀 주인공의 사랑을 통해 지식인들의 계몽운동을 묘사하고 있다는 것이 특징이다. 농촌계몽소설을 쓴 독립운동가 소설 상록수를 쓴 작가 심훈은 1901년 9월 서울에서 태어났다. 그는 1919년에 발생한 비폭력 만세 운동인 삼일운동에 참여했다. 삼일운동에서는 많은 독립운동가들이 체포되었다. 심훈도 그들과 함께 체포..
수난 이대는 작가 하근찬의 작품으로 1972년 신춘문예에 단편소설로 당선되었다. 전쟁으로 팔을 잃은 아버지와 다리를 잃은 아들의 이야기로 2대에 걸친 수난을 통해 우리 민족이 겪었던 역사적 비극과 극복하고자 하는 의지를 담아내는 소설이다. 전지적 작가 시점과 3인칭 관찰자 시점을 혼용하고 있으며 일제 강점기와 한국전쟁 이후를 배경으로 하고 있다. 수난 이대는 외나무다리라는 상징물을 사용해 주제를 전달한다는 특징을 가진 작품이다. 소설 수난 이대 작가 소개 소설가 하근찬은 1931년 경상북도 영천에서 태어났다. 그는 전주사범학교와 동아대 토목공학과를 다녔지만 중퇴 한 뒤 교사 생활과 잡지사 기자로 일했다. 1957년에는 한국일보 신춘문예에 단편소설 수난이대가 당선되어 등단하게 된다. 이후 그는 70여 편의..